posted by 포스힐러 2021. 1. 9. 13:24
반응형




main BGM -  https://youtu.be/1BEKGsSKOsU

바람의 대륙 메인 BGM은 저작권문제로 올릴수가 없으니 유튜브에서 감상해주시길...


바람의 대륙.... 이 검색어로 검색하니 무슨 바람의 나라 게임이 먼저 나오고 그러는걸 보니, 오래되긴 한 작품인가보다.


80년대의 판타지 애니메이션의 르네상스 시대를 풍미한 작품으로, 로도스도 전기, 알스란 전기등과 함께 동시대의 작품이다.


원작은 전28권의 소설인데, 만화책으로도 발행되었고 국내는 아쉽게도 16권인가.. 중도에 제작중단되어버렸기에 국내에서는 이작품을 제대로 볼 수가 없다.


이 BGM은 극장판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의 BGM과 주제곡이다.

주제곡은 곡의 느낌이 어딘가 낯설지않다 했더니만, 애니메이션 OST의 명곡인 건담F91 주제곡 Eternal wind의 작곡자가 만든곡이라 그랬다는 고개를 끄덕일 뒷이야기가 있다.


사실 필자의 뇌리엔 주제곡도 좋지만, 메인 BGM이 너무나도 강하게 각인되어있어 이 곡을 소개하고자 포스팅을 한것인데, 이게 저작권문제로 올릴수가 없다니.... 쯧...

아쉽지만, 유튜브 링크를 올려두니 그것으로 감상해주시길 ...


극장판 바람의 대륙은 당시 일본애니메이션의 정보통이었던 뉴타입 잡지에 연일 대서특필 될정도로 기대작이었다.

그도 그럴것이

이노마타무츠미의 캐릭터 디자인 참여와 노부테루 유키의 일러스트... 이걸로 더 말이 필요한가 ?


다만....

내용은 사실 좀 아쉬웠다.

아무래도 장편중의 한부분을 극장판으로 옮기다보니, 기승전결이고 뭐고... 주인공 소개고 뭐고 거의 다 제끼고  사막도적들에게 쫓기는 에피소드로 내용을 채우다보니, 원작을 모르는 이들은 상당히 이게 뭔소린가 하며 볼 수 있는 '불친절한' 작품인것이다.


필자도 사실 원작을 읽어보지 못하고 단지 그림체가 끌린다는 이유로, 당시 '저패니메이션의 보고' 였던 회현지하상가의 LD가게에서 비디오테잎복사해와서 봤던 기억이 있다.


기대는 무지하게 했는데, 사실 액션도 그렇게까지는 대단하지않았고, 스토리라인도 단순했기에 좀 실망스러웠으나... 오로지 그림체 보는것만으로 그 모든 아쉬움을 달랬었다.



지금봐도 작화수준이 뭐 ... 



필자는 당시 로도스도 전기의 광팬이었기에, 로도스도전기 캐릭터디자이너인 노부테루 유키 스타일의 그림체라면 내용이고 뭐고 다 필요없었기에 자연스럽게 이 바람의 나라도 기대하고 봤던 것인데,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작화는 노부테루 유키스타일이 아닌, 이노마타무츠미 스타일이었다. (뭐... 극강의 작화를 자랑하는 레다, 윈다리아에서 봐왔던 이노마타무츠미의 스타일도 물론 좋아하기에 불만은 없었다.)


락시, 티에, 보이스 라는 캐릭터들이 각자의 특이한 사연이 있어 방랑을 하게 되었고, 그들이 모여 함께 여행을 하게 된다는 내용... 사실 이 3인의 각자 스토리들만 따내도 별도의 작품이 될정도인데 이걸 극장판 한편에 다 녹여넣을수는 없는 일...

어쨌든 극장판 자체로만 보았을때는 

그냥 뭐 약간 지루한 작품이 될수도 있다. 막판의 가면 액션씬... 당시로서는 약간 잔인한 느낌의 장면이 좀 나와서 그게 좀 인상에 남았을뿐...

지나고나면 남는 기억은 배경 BGM과 작화뿐이다.


이 짧은 내용에서 주인공들의 스토리적 매력을 뽐내기엔 너무도 부족했던 작품...


이 작품을 아는분은 당시 기억을 되새겨보시길...


<보너스>


반응형
posted by 포스힐러 2020. 12. 12. 14:23
반응형

 

 

----------------------------------------------------------

;logo

;Intro

;Title

;Story theme 1

;Player phase1

;Enemy Phase1

;Story theme 2

;Army selection

; Player phase 2

; Enemy phase 2

; Player phase 3

; Enemy phase 3

; Player phase 4

; Story theme 3

; Player phase 5

; Enemy phase 4

; Player phase 6

;Army selection 2

; Story theme 4

; Player phase 7

; Enemy phase 5

; Story theme 5

; Enemy phase 6

; Story theme 6

------- ; Enemy phase 7

; Story theme 7

; Player phase 8

; Enemy phase 8

; Player phase 9

; Enemy phase 9

; Character Summary

; Ending A

; Ending B

; Staff roll

 

천사제국2 OST

 

필자가 처음 천사제국1탄을 접했을때 느낌은, 어차피 턴제 전략시뮬인 랑그릿사를 베낀 게임이니, 랑그릿사 광팬이었던 필자에게 PC에서 희귀한 턴제 게임으로서 당연 재미는 있었고 캐릭터도 전원 여성캐릭이라 보는 즐거움이 있긴 했으나 아무래도 이 게임을 만든 제작사가 대만의 소프트스타인데, 일본의 게임캐릭터 디자인에 익숙한 필자에겐 어딘가 좀 어수룩한 부분이 있는 그림체였다. 

물론, 그당시 PC수준에서 이정도를 내려면 눈물의 도트노가다를 찍어야 가능한 상황이었기에 당시로서는 대단한 그래픽이었다고 생각한다지만, 그왜 있쟎나...잘그리긴 했는데 어딘가가 좀 어색한 느낌...

그러던것이 이렇게 2탄에 와서는 일본산 게임이라 해도 믿을정도의 수준까지 올라왔다는데 대해 내심 놀라며 플레이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특히... BGM은... 그당시 애드립카드에서 구현하기 쉽지않았던 리버브효과(편법수준이지만)까지 구현해내면서 당시로선 훌륭한 음감을 뽑아냈다고 생각한다.

멜로디도 전투와 잘 맞아떨어지는 느낌, 아군의 페이즈와 적군의 페이즈때 음악이 달라지는 것은 랑그릿사에서 배워온 것이지만 아군과 적군의 분위기를 나름 잘 표현하여 구분해놓은 점도 좋은 점수를 줄 수 있었다.

 

게임은 사실 전형적 노가다 게임이다. 게임을 진행하다가 후퇴하는 방식으로 같은 판을 계속 뺑뺑이 돌릴수 있는, 샤이닝포스식 일명 "뺑뺑이 레벨업노가다"를 여기서도 구현할 수 있었기때문에, 게임의 난이도는 그닥 높지않게 느껴졌다. 

 샤이닝포스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여기서도 적을 한놈만 남겨둔 상태로 상하좌우 가둬놓고 난 뒤에 힐러들이 힐을 난사하면서 폭풍렙업을 할 수 있었기때문에 힐러계가 나중에 몸빵및 딜러를 도맡아 하게되는 개발자의도파괴 게임이 가능했기에, 초반에 렙업노가다 좀 해서 진작에 이차전직까지 다 끝낸 힐러들이 종횡무진 동분서주하며 적들을 격파해 나가며 진행하다보면, 사실상 후반부는 시시하게 파죽지세로 끝내버리게 되어 긴장도는 상당히 떨어지는 게임이었지만, 마음에 드는 캐릭터들 위주로 최강조합을 구성하여 출전시키는 재미가 쏠쏠했던 게임이다.

특히 보스에게도 공격하면 혼돈상태를 만들어버리는 사기캐 사검전사와 적의 피를 반으로 빼버리는 숲속전사 한둘씩 데리고 다니면 사실상 게임은 플레이어 손에서 놀아나는 상황일 정도로 게임의 난이도는 낮았다 볼 수 있다.

물론, 보너스스테이지급 무법천지에선 상대체력이 막강하여 힘은 들지만, 시간이 더 들뿐... 격파를 못할 게임은 아닌것이란 '인간적인' 요소가 있어 필자는 마음에 들었던 작품.

 

랑그릿사의 팬이라면 아마 이 게임의 음악들도 좋아할 것이라 생각한다. 레벨노가다 하며 밤새우던 옛 추억을 기억하는 분들은 다시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가보시길...

 

<보너스>

국내에서는 출시된줄도 모르는 사람이 많았던 천사제국 3탄.. 그래픽이 너무 이질적으로 바뀐데다가 사각형맵유닛이 아닌, 육각형맵유닛으로 바뀌면서, 전작과의 이질감이 너무 심했기에, 이상하게 정이 안가는 바람에, 필자도 딱 한번 플레이하고는 다시 플레이해본적이 없었다.

후속작인 천사제국4탄... 출시된지는 상당히 지난 게임인데, 스마트폰으로 컨버전 되어 플레이 해보고 있는 중인데... 그래픽 화려해지고 효과도 훌륭하며 천사제국 특유의 개그스런 표정표현등 많이 노력한 흔적이 있으나... 역시나... 왜 2탄때의 그 단순한 사각맵이 자꾸 생각나는지 모르겠다. ㅋ

 

 

 

 

반응형
posted by 포스힐러 2020. 10. 24. 03:12
반응형

 

; 01. Overture (Opening · Richter's Theme)

; 02. Blood Relations of Heaven and Earth (Stage 1 BGM)

; 03. Vampire Killer (Stage 2 Normal Side BGM)

; 04. Cross a Fear (Stage 2 Other Side BGM)

; 05. Bloody Tears (Stage 3 Normal Side BGM)

; 06. Cemetery (Stage 3 Other Side BGM)

; 07. Beginning (Stage 4 Normal Side BGM)

; 08. Slash (Stage 4 Other Side BGM)

; 09. Ghost Ship Painting (Stage 5 Normal Side BGM)

; 10. Op.13 (Stage 5 Other Side BGM)

; 11. Den (Stage 7 BGM)

; 12. Wild Dance in Phantasmic Hell (Boss Theme BGM)

; 13. Illusionary Dance Music (Stage 8 · Dracula's Theme)

; 14. March of the Saint (Richter Ending BGM)

; 15. Mary Samba (Maria Ending BGM)

; 16. Cross on the Breast (Unused)

 

악마성 드라큘라X - 피의 윤회

 

8비트 컴퓨터가 한창 유행하던 시절... 필자는 형들과 함께 용돈 모아 샀던 MSX1을 가지고 정말 오랜동안 버텼었다. 그러나, 한때는 친구들의 부러움을 한몸에 받던 MSX1이,  MSX2가 나오면서 슬슬 찬밥 신세가 되어가더니만, 이제는 메가드라이브, PC엔진등의 게임기들에, 그래픽이면 그래픽, 음악이면 음악.. 점점 왕좌의 자리를 내주는 통에 필자가 그렇게 사랑하던 MSX1은 어쩌면 필자의 아련한 미련으로 버티는 단계가 되어가고 있었다.

 

지금생각해봐도 정말 불세출의 회사였던 재미나에서 MSX 2카드라는 팩(MSX1에 꽂으면 MSX2로 변신시켜주는 세계최초 전무후무한 팩)을 출시하고, 필자와 친했던 친구가 그 팩을 과감히 질러 구입한 이후로, 필자는 간간히 친구에게 투카드 롬팩을 빌려 MSX2게임을 해보며 갈증을 해소하곤 했었는데, 그때 강렬한 멜로디로 필자의 뇌리에 박혀버린 게임이 있었으니, 바로 악마성 드라큘라 였다.

서양판으로는 드라큘라라는 지칭을 빼고, Castlevania 라는 명으로 출시가 되고 있는데, 처음 소절 "따단딴따! 다라라라라 라라라 라란!" 하는 도입부는, 게임을 좀 아는 사람이라 하면, 첫소절 듣는 순간 "아.. 이거!" 하고 알정도로 강렬한 곡이었다.

드라큘라백작이 100년마다 부활하면 벨몬드 가문의 뱀파이어헌터가 드라큘라를 무찌른다는 설정으로, 지금까지도 두고두고 우려먹는 시리즈인데, 뭐 어쩌겠나... 나오면 일정 티켓 이상 팔아주는 선수인데... 골수까지 계속 우려먹어야지...

그런데, PC엔진으로 출시된 악마성드라큘라X-피의 윤회 라는 소프트를 보면서 필자는 좌절과 찬사를 한꺼번에 느끼게 되었다.

 

 

이건 반칙이지... 이런 업그레이드로 기죽이기 있기없기?

그야말로 눈이 부실정도의 그래픽과 압도하는 BGM... 이건 MSX2와 시작부터 게임이 안되는것이다.

그런데 그정도에서 그치는게 아니라

 

게임속에서 구해낸 마리아를 플레이어로 쓸수 있다는 설정... 근데 또 그 마리아의 화력이 압도적이다. 이때부턴 그냥 긴박감보단 통쾌함을 느끼며 플레이하는 기분인데... 필자는 게임을 하면서 스트레스까지 받아야 한다는 설정을 너무도 싫어하는 축이라... 앨리스의 힘으로 압도하는 카리스마(?) 플레이가 매우 마음에 들었다.

당시로서는 히로인을 단지 구하는 존재로만 여기던 점을 타파하고, 오히려 주인공을 압도하는 스트롱우먼캐릭으로서, 주인공도 못해낸 드라큘라성 100%를 이뤄내는 이단점프 능력, 거기다가 무엇하나 강력하지않은 것이 없는 소환수 공격등, 정말 시대를 앞서는 히로인상을 제시한 레볼루션급 작품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게임이 지금 플레이해도 전혀 지루하지않은 이유중 하나이며, 레전드의 반열에 들만한 작품이라 생각한다.

게임도 게임이지만, 역시 악마성드라큘라에서 BGM을 빼놓을수 없다.

역시 코나미! 를 외치며 플레이하다보면, 특히 첫번째 스테이지의 BGM 도입부 스트링이 너무도 경쾌한것이 마음에 들었고, 듣는순간 전율이 돋았을 정도로 짜릿했던 두번째 스테이지 BGM은 MSX2의 악마성드라큘라 BGM어렌지버전인데, 여기서 이미 이 게임의 가치는 더 말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게임을 기억하시는 분들은 향수에 다시 빠져보시길...

 

<BONUS>

북미판 캐슬배니아

마리아는 리히터벨몬드의 애인의 동생이란 설정인데

여느 히로인처럼 연약하게 구출당하는데서 끝나지않고, 도리어 다른 여인들을 구출하는 여유를 보여준다.

이랬던 그녀가

크로니클에서는 이렇게 자라고

월하의 야상곡에서는 이렇게 바람직하게 성장한다. 딸이 커가는것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마음이 이런것인가..

 

반응형
posted by 포스힐러 2020. 9. 19. 15:55
반응형


스페이스 해리어 BGM


오락실에 들어섰을때 눈길을 어디다 둬야할지 모를때 최초로 눈길이 가는 게임을 들자면, 아무래도 뭔가 기존의 작은 캐릭터들이 깨작깨작 거리며 화면에서 돌아다니는 게임보단, 움직임이 화려하고 다이내믹한 화면전환이 되는 게임들이 눈에 먼저 들어오게 되는데,


대표적인 게임들이 몇개 있는데, 그중에 2.5D (3D게임이라 부르기엔 좀...)슈팅게임의 선구자격이었던 세가의 스페이스해리어를 들 수 있겠다.



무슨 탄환제한도 없는 원통형의 박격포같은거 하나 옆구리에 끼고선 정신없이 쏘아대며 날아다니는 모습은, 당시 오락실에서는 깨나 파격적이었다. 애프터버너에 나오는 전투기도 아닌, 무려 사람이 공중을 날아다니며 날아다니는 적들을 제압한다는 이런 발상 자체가 참으로 참신했는데, 아마 이게임, 안해봤다해도 안 본 사람은 없을것이라 생각할정도의 임펙트를 주었던 게임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 플레이하다보면 내가 이걸 제대로 노리고 쏘고 있는건지, 아님 그냥 대충 화면 휘젓고 다니면서 알아서 적이 맞길 바라며 쏘는건지 모르고 게임하는 경우가 다반사인지라...

실질적인 게임의 재미로 따졌을때는 그닥 세세한 조작성을 느끼기 어려웠다. 그저 적이나 적이 쏘는 탄환 피하면서 총만 쏴대는데 급급한... 어느순간엔 무아지경(?)에 들정도로 아무 생각없이 쏘고 쏘고 또 쏘던 게임... 그러다 정신 차려보면 바닥에 누워있고... 그러면 정말 아무 미련없이 일어나도 전혀 아쉽지 않던 게임...


뭔가 스테이지를 넘어가면서 정복해나아가고 또 다음을 보고 싶고 하는 바램이 별로 안생기고, 그저 단지 정신없이 돌아다니며 쾅쾅 터지고 슈팅하고 그러는 자체로 스트레스 푸는 그런 게임... 필자는 이 스페이스 해리어를 딱 그정도의 게임으로 생각한다.


나오는 BGM역시 그런 느낌이 드는데 한몫 한것이, 너무도 경쾌하고 밝다. 긴장감 1도 안드는 이런 밝은 풍의 배경음악이라니....

애프터버너의 긴박감 넘치는 그것과는 또 다른 느낌인것이다.


그러다가...

불세출의 MSX2 역작게임이 이 스페이스 해리어를 본따 명작을 만들어냈으니...

그이름 하여 "FEED BACK" 이었다.



피드백 BGM


그래픽면에서는 물론 스페이스해리어와 비교도 안되는 단순한 느낌이지만, 이것은 정말 내가 뭔가 노려서 쏜다는 느낌을 주는 맛이 있었다. 그리고 화면도 그렇게 정신없지도 않다보니, 도리어 집중이 되는 느낌이 든달까?

게임성으로 따진다면 오히려 이 피드백에 더 점수를 주고 싶은 이유가 이것이다.


게다가 이 게임을 만든곳이 누군가... 슈팅게임음악의 명가 "테크노 소프트" 아닌가말이다.


하단에 테크노 소프트 라는 친숙한 로고가 보이는가...!

이 업체가 메가드라이브 가진 사람들이 목에 힘주며 자랑할 수 있었던, 바로 그 슈팅게임의 명작 썬더포스 시리즈를 제작한 회사인것이다. 


지금 들으면 투박한 음악이고 투박한 화면이지만, 당시엔 정말 이런 박진감 있는 BGM에 이런 입체적인 슈팅게임이라니! 하고 감탄하던 기억이 있다.


두게임의 추억을 아는분들과 그때를 회상할 수 있길 바란다.


<보너스>

스페이스 해리어 2도 출시되었었는데, 주인공의 바지색과 바주카포 모양만 바뀌었을뿐... 얼핏보면 이게 1탄인지 2탄인지 구분도 잘 안간다.


외계물체의 침공으로 애인이 죽거나 다치고 주인공은 결의에 찬 표정으로 적을 무찌르러 발진한다...

이거 어디서 많이 들어본 스토리 아닌가...

반응형